로버트 노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노직은 20세기 미국의 철학자로, 정치철학, 인식론,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는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에서 최소 국가만이 정당화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자유지상주의적 입장을 펼쳤다. 또한, 경험 기계와 효용 괴물과 같은 사고 실험을 통해 공리주의를 비판하고, 지식의 추적 이론을 제시하며 인식론 분야에도 기여했다. 후기 저작에서는 자유지상주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상속세와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옹호하는 등 변화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노직은 다양한 학문 분야의 자료를 활용하여 탐구적인 철학적 사유를 전개했으며, 1975년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로 미국도서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무론적 윤리학 - 존 롤스
존 롤스는 미국의 정치철학자로서, 《정의론》 등의 저서를 통해 정의의 두 원칙을 제시하며 기본적 자유와 사회적·경제적 불평등의 조정을 강조했고, 원폭 투하를 비판하며 전쟁법에 대한 원리를 제시했다. - 의무론적 윤리학 - 실천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은 임마누엘 칸트가 1788년에 출판한 저서로, 실천 이성의 역할을 탐구하고 정언 명법을 중심으로 자유 의지와 도덕성의 관계를 설명하며, 윤리학과 도덕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자유지상주의자 - 윌리엄 고드윈
윌리엄 고드윈은 영국의 정치 철학자, 소설가, 저널리스트로서 무정부주의와 공리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대표작 『정치적 정의에 관한 탐구』를 통해 근대 무정부주의 사상의 초석을 놓았고, 이성과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며 정부와 강제적 권력을 비판했으며, 소설 『캘럽 윌리엄스』로 사회 제도와 권력의 부조리를 고발했고, 작가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남편이자 메리 셸리의 아버지이다. - 자유지상주의자 - 헤수스 우에르타 데소토
스페인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인 헤수스 우에르타 데소토는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대학교, 스탠퍼드 대학교 등을 졸업하고 레예스 후안 카를로스 대학교 정교수를 역임하며 미제스 연구소 선임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며, 일반균형이론 비판, 전액준비금제도 옹호, 살라망카 학파 은행이론 연구 등으로 알려져 있고, 아담 스미스 상, 프란츠 쿠멜 기념상 등 여러 상을 수상하고 여러 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으나, 그의 이론은 경제학계 내에서 논쟁을 야기한다. - 미국의 논리학자 - 에밀 포스트
에밀 포스트는 폴란드 태생 미국 수학자이자 논리학자로, 계산 이론과 재귀 이론에 기여했으며, 포스트-튜링 기계 개발, 포스트 대응 문제, 다항 연산 그룹 이론 연구 등을 수행했다. - 미국의 논리학자 - 리처드 제프리
리처드 제프리는 베이즈주의적 접근 방식을 발전시킨 미국의 철학자이며, 급진적 확률주의를 옹호하고 제프리 조건화를 제안했으며, MIT, 스탠퍼드 대학교 등에서 교직을 맡았다.
로버트 노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로버트 노직 |
로마자 표기 | Robert Nozick |
출생일 | 1938년 11월 16일 |
출생지 | 미국 뉴욕 시 브루클린 |
사망일 | 2002년 1월 23일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
학력 | |
학력 | 컬럼비아 대학교 (학사) 프린스턴 대학교 (박사) 옥스퍼드 대학교 |
박사 지도 교수 | 칼 구스타프 헴펠 |
철학적 배경 | |
시대 | 20세기 철학, 21세기 철학 |
지역 | 서양 철학 |
학파 | 분석철학 자유주의 리버테리아니즘 자연권적 리버테리아니즘 |
관심 분야 | |
주요 관심사 | 정치철학 윤리학 인식론 분석적 형이상학 존재론 과학철학 |
주요 사상 | |
주요 사상 | 자기 자유 자유 의지 효용 괴물 의무론 정의 경험 기계 권리 이론 최소 국가 폐쇄 원칙 비판 윌트 체임벌린 논증 공리주의 도덕적 의무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존 로크 이마누엘 칸트 존 스튜어트 밀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시드니 모겐베서 칼 헴펠 머레이 로스바드 |
영향을 받은 인물 | 로더릭 T. 롱 얀 나르베손 데이비드 슈미츠 타마르 겐들러 기타 리버테리아니즘, 자유주의, 개인주의, 분석적 형이상학, 자유의지론 등 |
기타 | |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 효용 괴물 경험 기계 정의의 권리 이론 노직의 로크 조항 윌트 체임벌린 논증 의무론의 역설 연역적 폐쇄 노직의 지식에 대한 4가지 조건 인식적 폐쇄 원칙 거부 |
웹사이트 |
2. 생애
노직은 브루클린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소피 코헨(Sophie Cohen)이었고, 아버지는 러시아의 작은 마을 출신 유대인으로 코헨(Cohen)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소규모 사업을 운영했다.[5]
로버트 노직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중요한 저작들을 남겼다. 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컬럼비아 대학교(1959년 문학사, 최우등 졸업)에서 시드니 모겐베서에게서 배우고, 프린스턴 대학교(1963년 박사)에서 칼 헴펠에게서 배우고, 풀브라이트 장학생으로 옥스퍼드 대학교(1963-1964년)에서 공부했다.
한때 노직은 청년 사회주의자 동맹에 가입했고, 컬럼비아 대학교에서는 산업 민주주의 학생 연맹의 지부를 설립했다. 그는 프리드리히 하이에크의 『자유의 헌법』을 접하면서 사회주의적 이상에서 멀어지기 시작했으며, 자유지상주의적 주장에 만족할 만한 답변을 할 수 없게 되자 "마지못해 자유지상주의로 이끌렸다"고 주장했다.[6]
1959년 학사 학위를 받은 후 바바라 피어러(Barbara Fierer)와 결혼했다. 그들은 에밀리와 데이비드 두 자녀를 두었다. 노직 부부는 결국 이혼했고, 노직은 나중에 시인 게르트루트 슈낙켄버그와 재혼했다.
노직은 위암과 오랜 투병 끝에 2002년 사망했다.[7] 그는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의 마운트 오번 묘지에 안장되었다.
3. 경력 및 저작
노직은 초기 저작에서 자유지상주의적 관점을 강력하게 옹호했지만, 후기에는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옹호하고 상속세를 통한 부의 재분배를 제안하는 등 다소 수정된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28]
3. 1. 정치철학
노직의 첫 저서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1974)는 “폭력, 사기, 절도로부터의 보호와 법정 운영”이라는 기능으로 제한된 극소 국가만이 정당화될 수 있으며, 그 이상으로 확장된 국가는 개인의 권리를 침해할 것이라고 주장한다.[8] 노직은 성인 간의 자유로운 교환을 통해 이루어진 재화의 분배는, 권리 이론의 원칙이 준수되는 기준점으로부터 거래가 이루어질 때 정의롭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농구 선수 윌트 체임벌린의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추가 비용을 지불하는 것과 같이 자유로운 이전 과정에서 큰 불평등이 발생하더라도, 모든 당사자가 자유롭게 동의한 경우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분배는 정의롭다고 주장한다.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는 존 롤스의 《정의론》과 대조되는데, 이는 롤스의 차등의 원칙, 즉 “사회적 및 경제적 불평등은 사회의 가장 불리한 구성원에게 가장 큰 이익이 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도전이었기 때문이다.
노직의 철학은 존 로크의 《정부론 제2론》에서 유래하며 자연법 이론에 근거를 두고자 하지만, 주장을 세속화하려는 시도를 통해 로크와 자기 소유권 문제에서 뚜렷하게 갈라선다. 또한 이마누엘 칸트의 정언 명령의 두 번째 공식, 즉 사람들을 수단으로만이 아니라 목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주장에 호소했다. 노직은 이것을 ‘개인의 분리성’이라고 부르며, “사회적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다… 오직 개인만이 존재한다”고 말하며, 우리는 “[각 개인]이 독립된 개인이라는 사실을 존중하고 고려해야 한다”고 말한다.[9]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노직이 자유지상주의적 자기 소유권의 일관된 적용은 성인 간의 합의된, 비강압적인 노예 제도 계약을 허용할 것이라고 주장한 것이다. 그는 로크와 대부분의 현대 자본주의 지향적 자유지상주의 학자들이 제기한 양도할 수 없는 권리의 개념을 거부하고,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에서 전형적인 "자유 시스템"은 개인이 자발적으로 비강압적인 노예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기술했다.[10][11][12][13]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는 초판 발행 후 다음 해에 전미도서상의 철학 및 종교 부문에서 수상했다.[14]
3. 2. 공리주의에 관한 사고 실험
노직은 공리주의를 반박하기 위해 여러 사고 실험을 제시했다.
그 중 하나는 경험 기계로, 사람들에게 원하는 어떤 경험이든 제공할 수 있는 가상의 기계이다. 노직은 이 기계를 통해 윤리적 쾌락주의가 진정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아니며,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도 아니라고 주장한다.[15] 그는 경험 기계 속의 삶은 가치가 없다고 보았으며, 그 이유로 실제 행동을 하고자 하는 욕구, 특정 유형의 사람이 되고자 하는 욕구, 그리고 경험 기계가 우리를 인공적인 현실에 가둔다는 점 등을 들었다.
사람들의 경험이 "내면으로부터" 어떻게 느껴지는지 외에는 무엇이 중요한지 질문할 때 상당한 난제들이 있다. 당신이 원하는 어떤 경험이든 줄 수 있는 경험 기계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초고도 신경 심리학자들은 당신의 뇌를 자극하여 당신이 위대한 소설을 쓰거나, 친구를 사귀거나, 흥미로운 책을 읽고 있다고 생각하고 느끼게 할 수 있다. 당신은 항상 전극이 뇌에 연결된 탱크에 떠 있을 것이다. 평생 이 기계에 연결하여 인생 경험을 미리 프로그래밍해야 할까?영어[15]
또 다른 사고 실험은 효용 괴물이다. 이는 평균 공리주의가 다수의 필요를 위해 한 개인을 희생시키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노직은 "동물을 위한 공리주의, 인간을 위한 칸트주의"라는 개념도 제시했는데,[16] 이는 개별 인간의 독립성은 인정하지만, 동물의 도덕적 척도는 쾌락 극대화에만 국한된다는 것이다.
[동물을 위한 공리주의, 인간을 위한 칸트주의]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1) 모든 생명체의 총 행복을 극대화한다; (2) 인간에게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엄격한 부수적 제약을 둔다.영어[16]
노직은 어떤 사람이 손가락을 튕겨 1만 마리의 소를 고통 없이 죽일 수 있는 가상 시나리오를 제시하며, 이것이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인지 질문한다.[17] "동물을 위한 공리주의, 인간을 위한 칸트주의"에 따르면, 소들의 죽음이 인간에게 쾌락을 제공한다면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그는 공리주의 이론을 비판하기 위해 효용 괴물의 예를 제시하며, 인간이 동물을 대량 희생시켜 이익을 얻는 상황을 비판한다.[18]
3. 3. 인식론
《철학적 설명》(1981)에서 노직은 지식, 자유 의지, 정체성, 가치의 본질, 그리고 삶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설명을 제시했다. 그는 또한 게티어 문제와 회의주의가 제기하는 문제들 모두를 다루려는 인식론적 체계를 제안했다.[19]
노직은 S가 P를 안다는 것에 대한 네 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S=주체 / P=명제)
1. P는 참이다.
2. S는 P를 믿는다.
3. (not-P)인 경우, S는 P를 믿지 않을 것이다.
4. P인 경우, S는 P를 믿을 것이다.
노직의 세 번째와 네 번째 조건은 반사실적 조건문이다. 그는 이것을 지식의 "추적 이론"이라고 불렀다. 노직은 반사실적 조건문이 우리의 지식에 대한 직관적 이해의 중요한 측면을 보여준다고 믿었다. 어떤 주어진 사실에 대해서도, 신봉자의 방법(M)은 다양한 관련 조건에도 불구하고 진실을 신뢰할 수 있게 추적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노직의 이론은 신뢰주의와 유사하다. 이러한 반사실적 조건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특정 반례들 때문에, 노직은 다음과 같이 명시했다.
1. P가 사실이 아니고 S가 P이든 아니든 P에 도달하기 위해 M을 사용한다면, S는 M을 통해 P를 믿지 않을 것이다.
2. P가 사실이고 S가 P이든 아니든 P에 도달하기 위해 M을 사용한다면, S는 M을 통해 P를 믿을 것이다.[20]
노직의 지식 이론의 주요 특징은 연역적 폐쇄 원리를 거부하는 것이다. 이 원리는 S가 X를 알고 S가 X가 Y를 의미한다는 것을 안다면, S는 Y를 안다는 것이다. 노직의 진리 추적 조건은 연역적 폐쇄 원리를 허용하지 않는다.
3. 4. 이후 저작
《검증된 삶(The Examined Life)》(1989)은 일반 독자층을 대상으로 사랑, 죽음, 신앙, 현실, 삶의 의미 등을 탐구한다. 노직은 이 책에서 아버지의 죽음을 논하고, 경험 기계를 재평가하며, 개인이 삶에서 현실과 더 잘 연결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21][22]
《합리성의 본질(The Nature of Rationality)》(1993)은 실천 이성 이론을 제시하여 고전적인 의사결정 이론을 보완하려 한다. 노직은 이 책에서 뉴콤의 문제와 죄수의 딜레마를 다루고, 상징적 효용 개념을 소개한다.
《소크라테스 퍼즐(Socratic Puzzles)》(1997)은 노직의 이전 논문들과 새로운 에세이들을 모은 것이다. 특히 톰 리건의 《동물 권리에 대한 옹호(The Case for Animal Rights)》에 대한 노직의 1983년 리뷰가 포함되어 있는데, 여기서 노직은 동물 권리 운동가들이 종종 "괴짜"로 여겨진다고 말하며, 《무정부 상태,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Anarchy, State, and Utopia)》에서 주장했던 채식주의 입장을 철회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23][24]
노직의 마지막 저서 《불변성(Invariances)》(2001)은 물리학과 생물학의 통찰력을 필연성의 본질, 선과 가치 이론(Goodness and value theory)에서의 객관성(철학)(Objectivity (philosophy))에 대한 질문에 적용한다. 노직은 자신의 진리 이론을 소개하며, 객관성은 다양한 변환에 대해 불변하는 것을 통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불변성과 객관성 자체가 가능한 세계에 걸친 진화론적 우주론 이론을 통해 등장했다고 주장한다.[25]
3. 5. 자유지상주의에 대한 후기 성찰
노직은 말년에 자신의 저서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를 포함한 자유지상주의에 대해 의구심을 표명했다. 《검증된 삶》에서는 상속세를 통한 부의 재분배를 제안하고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옹호했다.[28] 《합리성의 본질》에서는 진실을 원초적 재화로 칭하며 존 롤스의 《정의론》을 명시적으로 차용했다.[29] 그러나 같은 책에서 최저임금법이 불공정하다고 암시하는 한편,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하고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을 언급하며 자본주의를 옹호하기도 했다.[30]
4. 철학적 방법
로버트 노직은 탐구적인 철학적 사유 방식으로 자주 칭찬을 받았다. 그는 매혹적인 철학적 가능성을 제기하고 판단은 독자에게 맡기는 것을 즐겼다.[37] 앤서니 고틀리브(Anthony Gottlieb)는 그의 저서 ''합리성의 본질(The Nature of Rationality)'' 서평에서 이러한 노직의 철학적 글쓰기 방식을 칭찬했다.[37]
제이슨 브레넌(Jason Brennan)은 이를 노직의 "적어도 그의 글에서는 놀라울 정도로 겸손함"과 관련지었다. 브레넌은 이것이 노직이 놀라운 결론에 도달할 수 있게 한 점을 보여주면서,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 부고 기사 제목에도 실린 노직의 유명한 인용구 중 하나인 "마지막 말 외의 다른 주제에 대한 말할 공간이 있다"는 말에도 주목한다.[38][39]
노직은 또한 철학 외의 문헌, 즉 경제학, 물리학, 진화생물학, 의사결정 이론, 인류학, 컴퓨터 과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 자료를 가져온 것으로 주목할 만하다.[40][41]
5. 대중문화
HBO의 드라마 《소프라노스》 23화(원제: Bust Out)에서 토니 소프라노의 범죄를 목격한 한 증인이 집에서 로버트 노직의 저서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을 읽고 있는 장면이 나온다.[42] 다니 로드릭은 보 로스테인의 견해를 인용하여, 드라마 제작진이 해당 증인이 자신이 범인으로 지목했던 인물이 실제로는 지역 마피아 두목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보이는 반응을 통해 논쟁에서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지적한다.[42]
6. 수상 경력
7. 저서
제목 | 원제 | 출판 연도 | 번역서 (일본어) | 번역서 (한국어) |
---|---|---|---|---|
무정부 상태,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 | Anarchy, State, and Utopia | 1974년 | 嶋津格 역, 『아나키-국가-유토피아――국가의 정당성과 그 한계』(목탁사, 1985년 2권본・1995년 1권본) | |
철학적 설명 | Philosophical Explanations | 1981년 | 坂本百大 외 역, 『생각하는 것을 생각한다(상・하)』(청토사, 1997년) | |
성찰된 삶 | The Examined Life: Philosophical Meditations | 1989년 | 井上章子 역, 『삶 속의 나선――자아와 삶의 대화』(청토사, 1993년) | |
합리성의 본질 | The Nature of Rationality | 1993년 | ||
소크라테스의 난제 | Socratic Puzzles | 1997년 | ||
불변성 | Invariances: The Structure of the Objective World | 2001년/2003년 |
참조
[1]
서적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05-30
[2]
서적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Books
[3]
간행물
Robert Nozick, 1938–2002
https://www.princeto[...]
2002-11-00
[4]
서적
Dictionary of Modern American Philosophers
Thoemmes Press
[5]
뉴스
Professor Robert Nozick
https://www.telegrap[...]
2002-00-00
[6]
웹사이트
An Interview with Robert Nozick
https://www.libertar[...]
CATO Institute
1977-12-01
[7]
백과사전
Robert Nozick Memorial minute
http://www.news.harv[...]
2007-02-01
[8]
웹사이트
Robert Nozick (1938—2002)
https://www.iep.utm.[...]
[9]
서적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Books
[10]
논문
''Translatio'' versus ''Concessio'': Retrieving the Debate about Contracts of Alienation with an Application to Today's Employment Contract
http://ellerman.org/[...]
Sage Publications
2005-09-00
[11]
웹사이트
A summary of the political philosophy of Robert Nozick
http://www.missouri.[...]
[12]
웹사이트
Robert Nozick, Libertarianism, And Utopia
http://world.std.com[...]
2007-10-25
[13]
웹사이트
Nozick on Newcomb's Problem and Prisoners' Dilemma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1975
http://www.nationalb[...]
[15]
서적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Books
[16]
서적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Books
[17]
서적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Books
[18]
서적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Books
[19]
서적
Robert Nozic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기타
Solving the Skeptical Problem
[21]
서적
The Examined Life: Philosophical Meditations
Simon & Schuster
[22]
서적
The Examined Life: Philosophical Meditations
Simon & Schuster
[23]
서적
Socratic Puzzles
Harvard University Press
[24]
뉴스
Animal Rights
https://www.nytimes.[...]
1983-12-18
[25]
서적
Dictionary of Modern American Philosophers
A&C Black
[26]
서적
The Examined Life: Philosophical Meditations
Simon & Schuster
[27]
서적
The Nature of Rational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Examined Life: Philosophical Meditations
Simon & Schuster
[29]
서적
The Nature of Rational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Nature of Rational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Nozick's Apartment
https://www.juliansa[...]
2003-04-08
[32]
서적
Invariances
Harva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Socratic Puzzles
Harvard University Press
[34]
서적
Leaving Libertarianism: Social Ties in Robert Nozick's New Philosophy
https://www.duo.uio.[...]
University of Oslo
[35]
웹사이트
The Liberty Scam: Why even Robert Nozick, the philosophical father of libertarianism, gave up on the movement he inspired
http://www.slate.com[...]
2011-06-24
[36]
웹사이트
Nozick, Libertarianism, and Thought Experiments
http://www.juliansan[...]
[37]
뉴스
Why Do You Do the Things You Do?
https://www.nytimes.[...]
1993-08-22
[38]
웹사이트
Nozick on Philosophical Explorations: There is Room for Words other than Last Words
https://bleedinghear[...]
2011-06-29
[39]
뉴스
Not all words need be last words
https://www.economis[...]
2002-01-31
[40]
참고자료 # Ibid. 는 이전 항목을 참조하는 것이므로 별도의 type 지정이 필요.
[41]
뉴스
Cosmic Philosopher
https://www.nybooks.[...]
1982-02-18
[42]
웹사이트
Tony Soprano and Robert Nozick
https://rodrik.typep[...]
2009-09-05
[43]
뉴스
Robert Nozick, Harvard Political Philosopher, Dies at 63
New York Times
2002-01-24
[44]
웹사이트
Nozick, Robert
http://www.iep.utm.e[...]
2005-05-04
[45]
서적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문학과 지성사
1997
[46]
서적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문학과 지성사
1997
[47]
서적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문학과 지성사
1997
[48]
서적
아나키에서 유토피아로
문학과 지성사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